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1. 보딘(Bordin)의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수퍼(Super)의 발달적 직업상담- 진로 자서전과 의사결정 일기 [직업상담학] [직업상담사] 

직업상담사2차 기출/직업상담학

by 스톤Passion 2019. 6. 12. 12:02

본문



 I. 직업상담학

11. 보딘(Bordin)의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수퍼(Super)의 발달적 직업상담

보딘의 정신역동적 직업 상담 과정 3단계, 수퍼의 3가지 평가, 진로 자서전 의사결정 일기







11. 보딘(Bordin)의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02. 보딘(Bordin)의 분류한 직업 문제의 심리적 원인을 4가지만 제시하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18-3, 14-3 14-1, 13-3, 11-1, 10-2, 9-2, 6-1]

   정신역동적 직업상담을 체계화하면서 직업문제 진단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5가지 쓰시오

1. 의존성 : 자신의 직업 문제를 해결하고 책임을 지는 것을 어렵게 생각하거나 생애발달과제의 달성을 스스로 주도하기 어려워 다른 사람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우

2. 정보의 부족 : 경제적으로나 교육적으로 궁핍한 경우 정보를 접할 기회가 부족하여 현명한 선택을 하지 못하는 경우

3. 자아 갈등(내적 갈등) : 직업 선택 등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때에 갈등하는 경우. 즉 하나의 자아 개념과 다른 자아개념 사이에서 갈등하는 경우

4. 선택의 불안 : 자신이 하고 싶은 일과 타인(부모)이 기대하는 일이 다를 때 불안을 경험하는 경우

5. 확실하지 못한 선택(확신의 결여) : 현명한 직업선택을 하고도 자신의 선택에 대한 확신의 부족으로 인해 직업상담자를 찾아온 경우

02. 보딘의 정신역동적 직업 상담 과정 3단계를 쓰고 설명하시오.[13-2, 12-1, 09-1, 15-3]

1. 탐색과 계약체결 :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욕구 및 정신 역동적 상태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돕고 상담과정을 구조화하여 상담계약을 체결한다.

2. 중대한 결정(핵심결정, 비판적 결정) : 내담자가 자신의 성격에 맞게 직업을 선택하느냐 아니면 어떤 직업을 선택하기 위해 자신의 성격을 변화시키느냐를 결정한다.

3. 변화를 위한 노력 : 내담자가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직업과 관련 지어 흥미와 성격 등을 변화시키려고 노력한다.

※ 내담자가 처한 직업발달 시점에서 상담 시작





11-1. 수퍼(Super) 발달적 직업상담










01. 발달적 직업상담에서 Super진단대신평가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Super가 제시한 3가지 평가를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10-1]

1. 문제의 평가

내담자가 겪고 있는 어려움과 직업 상담에 대한 기대감을 평가한다.

직업에 대한 개인의 생각, 문제해결을 위한 책임성, 융통성, 침착성, 유머감각, 미성숙이나 부적응에서 비롯되는 직업적 문제 등이 평가대상이다.

2. 개인의 평가  (리적 측면이 평가대상)

심리검사 임상적 방법, 사례연구 등을 통해 내담자의 흥미, 적성, 능력 등을 평가한다.

내담자의 일반적성 및 특수적성, 흥미와 태도, 성격적 특징, 사회경제적 상태, 동료 또는 상사와의 관계 등 내담자의 현재 상태 및 기능을 비롯하여, 내담자의 신체질병, 가족배경, 형제자매의 수와 순서, 부모의 양육태도 등 심리사회적 발달 양상이 평가대상이다.

3. 예언 평가

문제의 평가와 개인의 평가를 바탕으로 내담자가 어떤 직종에서 성공하고 만족할 수 있는지를 예언한다.

상담에 대한 기대와 동기, 상담의 목표와 계획 등 진료상담에 대한 것을 비롯하여, 직업에 대한 만족 또는 성공과 연관된 성격 및 능력 등이 평가대상이다.

※평가 : 진단보다 포괄적이고 긍정적이다. 내담자의 잠재능력에 중점을 둔다.

 

02. 수퍼가 제안한 발달적 직업상담의 6단계를 쓰시고 설명하시오.[11-2,3, 08-2, 15-2, 18-3]

1. 문제 탐색 및 자아개념 묘사 : 비지시적 방법으로 문제를 탐색하고 자아개념을 묘사한다.

2. 심층적 탐색 : 지시적 방법으로 문제를 심층적으로 탐색한다.

3. 자아수용 및 자아통찰 : 비지시적 방법으로 내담자 스스로 자기의 사고를 명료화하여 자아수용 및 자아통찰을 하게 한다.

4. 현실검증 : 지시적 방법으로 심리검사를 실시하고 직업 정보를 분석하여 현실검증을 한다.

5. 태도와 감정의 탐색과 처리 : 비지시적 방법으로 현실 검증을 통해 태도와 감정을 탐색하고 처리한다.

6. 의사결정 : 비지시적 방법으로 자신의 직업을 결정한다.

 

03. 발달적 직업상담에서 직업상담자가 사용할 수 있는 개념으로진로 자서전의사결정 일기가 있다.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09-3]

1. 진로 자서전 :  내담자가 과거에 어떻게 의사결정을 했는지 내담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준 사람은 누구였는지 등을 내담자 스스로 기술하게 한다.

2. 의사결정 일기 :  내담자가 현재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고 있는지 내담자의 일상적인 의사결정에 대해 의사결정 방식을 기술하게 한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