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직업상담학 9. 월리암슨의 특성-요인 직업상담 파슨스·달리·브레이필드 특성-요인 직업의 정보기능, 검사의 해석단계, 설명·설득·직접충고 |
9. 월리암슨의 특성-요인 직업상담
※ 파슨스의 기여 ① 노동자들의 능력과 흥미에 맞는 직업선택 위한 교육,사회제도 개혁 제안 ② 자기분석,직업분석,과학적 조언을 통한 매칭을 주장 ③ 자신의 강점, 약점을 포함한 개인적 성향을 이해, 직업에서의 성공 조건, 보상, 승진에 관한 정보를 알고 정보를 바탕으로 선택 과정에서 ‘진실한 추론’ 을 한다. |
01. 파슨스(Parsons)의 특성-요인 이론에서 특성과 요인에 관하여 서술하시오.[03-1]
1. 특성 : 흥미, 적성, 성격, 가치 등 각 직업에서의 성공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특성. 즉 개성을 의미한다.
2. 요인 : 성실, 책임, 직업성취도 등 특정한 직업에서의 성공을 위해 요구되는 조건. 즉, 직업의 구성요소를 말한다.
02. Parsons의 직업상담 3요인설(상담자가 해야할)에 대해 설명하시오.[11-3, 04-1]
1. 개인(자신)에 대한 이해 : 흥미, 적성, 성격, 가치 등 각 직업에서의 성공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특성을 이해한다.
2. 직업에 대한 이해 : 성실, 책임, 직업성취도 등 특정한 직업에서의 성공을 위해 요구되는 조건을 파악 한다. 보수, 승진제도 등 직업정보를 통한 직업의 특성을 이해한다.
3. 개인과 직업의 합리적 연결 : 과학적 조언을 통한 개인과 직업의 합리적인 연결(맵칭)로 직업 선택을 하도록 조력한다. 합리적인 추론을 통해 내답자 특성과 직업의 특성을 연결한다.
03. 윌리암슨의 특성-요인 이론 중 인간 본성에 대한 5가지 기본 가정을 쓰시오.[13-2, 10-2, 08-1]
1. 인간은 선과 악의 잠재력을 모두 지니고 있다.
2. 인간은 선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3. 인간의 선한 생활을 결정하는 것은 자기 자신이다.
4. 선의 본질은 자아의 완전한 실현이다.
5. 인간은 누구나 그 자신만의 독특한 세계관을 지닌다.
04. 월리암슨이 제시한 특성-요인 직업 상담에서 검사의 해석단계에서 이용 할 수 있는 상담기법 3가지를 쓰고 설명하시오.
[08-3,03-1,10-4,15-3]
윌리암슨의 특성-요인 이론에서 검사의 해석단계에서 이용 할 수 있는 상담기법 3가지를 쓰시오.[12-3, 10-4]
1. 설명(Explanation) : 상담자는 검사 자료뿐 아니라 기타 내담자에 관한 여러가지 자료들을 해석 해주고, 내담자가 검사결과가 주는 의미를 이해해서 현명한 선택을 하도록 하기 위해 검사 결과를 설명해준다. 설명이 가장 완전하고 만족스러운 방법이다.
2. 설득(Persuasion) : 상담자는 내담자가 여러 가지 대안을 생각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으로 자료를 정리한 후에 내담자가 이해할 수 있 는 방법으로 설득을 한다. (내담자가 올바르지 못한 직업선택을 한다면 올바른 직업선택을 하도록 설득한다.)
3. 직접 충고(Direct Advising) :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가장 만족할 만한 선택이나 행동 또는 실행계획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솔직하게 표명하는 것으로
상담자는 내담자가 지나치게 솔직한 의견을 요구하거나 실패의 좌절을 가져올 직업 선택을 고집 할 경우 직접 충고한다
05. Williamson의 특성-요인 직업상담에서 직업의사결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문제들에 대한 변별진단 결과를 분류하는 4가지 범주를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18-1,14-4,16-2,15-1,15-3,14-3,10-1,09-2]
1. 직업 무선택 : 직업을 선택한 적이 없거나 선호하는 직업이 몇 가지 있는데 어느 것을 선택할 지 모르는 경우
2. 불확실한 선택(확신이 없는 결정) : 직업을 선택했지만 교육 수준 부족, 자기이해부족,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부족 실패에 대한 두려움, 자신의 적성에 대한 불신 등으로 인해 자신의 결정에 확신을 갖지 못하는 경우
3. 흥미와 적성 간의 불일치(흥미와 적성 간의 모순) : 흥미를 느끼는 직업에 적성이 없거나 적성에 맞는 직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등 흥미와 적성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4. 현명하지 못한 선택 : 목표에 부합하지 않는 적성이나 자신의 흥미와 관계없는 직업을 선택하는 경우
06. 달리(Daley)의
특성-요인상담에서 상담자가 지켜야할 상담 원칙 3가지를 쓰고
설명하시오.
1. 내담자에게 강의하려 하거나 거만한 자세로 말하지 않는다.
2. 간단한 어휘를 사용하고, 상담초기에는 내담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비교적 적은 범위로 한정시킨다.
3. 어떤 정보나 해답을 제공하기 전에 내담자가 정말로 그것을 알고 싶어 하는지 확인한다.
4. 상담자는 자신이 내담자가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태도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내담자의 태도가 상담과정의 논의가 방해 받거나 내담자의 주요문제를 보지 못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07. 특성-요인 직업 상담이론에서 Brayfield가 제시한 직업 정보의 기능 3가지를 쓰고 설명하시오.[11-2, 08-1.3, 06-1, 15-1]
1. 정보제공기능(모호한 의사결정 돕기) : 내담자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거나 진로선택에 관한 지식을 증가시켜주는 기능으로, 내담자가 이미 선택한 것을 확인시키거나, 2가지 이상의 대안을 놓고 결정을 하지 못할 때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거나, 내담자가 직업선택에 관한 지식을 축적할 수 있도록 직업정보를 제공한다.
2. 재조정기능(냉철한 현실검증을 재조정) : 내담자가 부적당한 직업선택을 했는지 재조정해 보는 기능으로, 내담자가 자신의 선택이 현실에 비추어 부적당한 선택이었는지 점검하고 재조정해 볼 수 있도록 직업정보를 제공한다.
3. 동기화 기능(내담자의 적극적인 참여) : 내담자가 결정과정에 적극 참여하도록 동기화시켜 주는 기능으로 내담자가 직업선택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자신의 선택에 대하여 책임감을 갖도록 내담자의 동기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직업정보를 제공한다.
08. 특성-요인 상담(지시적)의 기본 원리에 대해서 기술하시오.[신출 18-1]
1. 개인은 신뢰할 만하고 측정되어 질 수 있는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2. 직업세계는 특정한 특성을 소유하고 있는 개인을 필요로 한다.
3. 직업선택은 직선적인 과정이고 특성과 연결이 가능하다.
4. 개인의 특성과 직업의 요구 간에 연결이 잘 될수록 성공가능성은 커진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