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노동시장] 12. 파업 이론-Hicks(힉수)의 단체 교섭 이론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직업상담사2차 기출/노동시장

by 스톤Passion 2019. 7. 26. 16:02

본문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IV.노동시장-파업 이론-Hicks(힉수)의 단체 교섭 이론














12. 파업 이론-Hicks(힉수)의 단체 교섭 이론

 






01. Hicks(힉수)의 단체 교섭 이론을 그래프로 그리고 간략히 설명하시오.[12-2]


 1. 힉스는 노동조합의 저항곡선과 사용자의 양보곡선을 설정하고 단체 교섭이 결렬되어 파업으로 인한 손실과 임금인상효과가 서로 교차하는 점에서 파업기간이 결정된다고 보았다. 파업기간을 개념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노동조합의 저항곡선과 사용자의 양보 곡선이 만나는 점에서 파업이 중지된다.

2. 단체 교섭 과정에서 노동조합의 요구임금은 파업기간이 길어질수록 하향 조정되고 사용자의 제의임금은 상향 조정된다.

 

임금률 A점은 노동조합이 없거나 노동조합이 파업하기 이전 사용자들이 지불하려는 임금수준이다.

B점에서 우하향하는 선은 노동조합의 저항곡선이다. 노사가 S0에서 파업을 중단하는 것이 이익이 된다는 것을 안다면 W0수준에서 임금교섭을 타결 할 것이다.

 

조합주의

* 정치적(혁명적) 조합주의

- 노사관계를 적대적 대립관계로 본다.

* 국민적 조합주의

- 이해공동의 관계로 본다.

* 경제적 조합주의(별도 문제 가능)

- 노사관계를 이해조정이 가능한 비적대적 관계로 본다.

- 단체교섬을 통한 노동자의 근로조건 개선 및 유지를 목표로 한다.

- 노동조합운동의 정치로부터의 독립을 강조한다.

 

노동조합 성장률 저하 요인

* 여성근로자 비율의 증가

* 국제경쟁력의 강화

* 서비스업의 비중 증대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