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노동시장] 9. 노동의 효과-실망노동자의 효과, 부가 노동자 효과, 통계상 체감실업률 낮은 이유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직업상담사2차 기출/노동시장

by 스톤Passion 2019. 7. 26. 15:32

본문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IV.노동시장-노동의 효과-실망노동자의 효과, 부가 노동자 효과, 통계상 체감실업률 낮은 이유












9. 노동의 효과-실망노동자의 효과, 부가 노동자 효과, 통계상 체감실업률 낮은 이유

 

 

 

 



 

 

 

 

01. 실망노동자와 부가노동자가 각각 실업률에 미치는 영향을 쓰시오.[14-3]

1. 실망노동자의 효과

불황기에는 구인자의 수보다 구직자의 수가 많기 때문에 상당수가 취업의 기회를 얻지 못하고 실망한 결과 경제활동이 가능한 인력이 구직활동을 포기함으로써 비경제활동인구로 전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실업자의 수는 비경제활동인구화된 수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통계상 과소평가되어 있다. , 실업률이 감소한다.

2. 부가 노동자 효과

가구주가 불황으로 실직하게 되면 가족 가운데 주부나 학생들의 비경제활동 인구가 구직 활동을 함으로써 경제활동인구화 되는 현상을 말한다.

실업자의 수는 경제활동인구화 된 수를 포함함으로 통계상 과대 평가되어 있다. 즉 실업률이 증가한다.



02. 1997년 실업률은 2.6%였으나 IMF로 인해 1998년에는 6.8%로 증가하였고 경제활동참가율은 1997 62.2%에서 1998 60.1%로 하락하였다. 경기침체는 경제활동참가율을 감소(실망노동자 효과)시키거나 증가(부가노동자 효과)시키는데 이처럼 감소된 경우를 경제용어로 무엇이라고 하는지 쓰고 그 내용을 설명하시오.[00-1]

1. 실망노동자 효과

2. 불황기에는 구인자의 수보다 구직자의 수가 많기 때문에 상당수가 취업의 기회를 얻지 못하고 실망한 결과 경제 활동이 가능한 인구가 구직활동을 단념함으로써 비경제활동 인구로 전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03. 우리나라의 경우 통계상 실업률이 체감실업률보다 낮게 나타나는데 그 이유를 2가지 쓰시오.[11-2]

1. 실망 노동자 효과 때문이다. 비경제활동인구화된 실망실업자는 실업자 수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통계상 실업률이 체감실업률보다 낮게 나타난다.

2. 경제활동조사기간에 1시간이라도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하면 나머지 시간을 대부분 구직활동으로 보내는 실질적 실업자 일지라도 취업자로 분류된다. , 경제활동조사기간에 임시적이나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경우는 취업자로 분류되어 실업통계에 잡히지 않는다. 그러므로 체감실업률보다 통계상 실업률이 낮게 나타난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