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장]2. 노동의수요 II(기업의 최적 고용 단위,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 한계생산물, 한계비용, 한계수입)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IV.노동시장-노동의수요 II (기업의 최적 고용 단위,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 한계생산물, 한계비용, 한계수입)
2. 노동의수요 II(기업의 최적 고용 단위,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 한계생산물, 한계비용, 한계수입)
07. 다음 기업의 최적 고용 단위를 구하시오.[15-3 ]
(단위가격 : 150원, 생산물단가 : 100원)
한계비용(MC) 150 150 150 150 150 150
노동투입량 |
0 |
1 |
2 |
3 |
4 |
5 |
6 |
총생산량 |
|
2 |
4 |
7 |
8.5 |
9 |
9 |
한계수입(MR) (2-0)X100 (4-2)X100 (7-4)X100 (8.5-7)5X100 (9-8.5)X100 (9-9)X100
[풀이]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
1. 한계비용(MC) = 한계수입(MR)때이다.
즉, 임금(W) = 노동한계생산물(MPL) X생산물가격(P)
= 노동의 한계생산물가치(VMPL)
2. 4 단위 일 때
MR = (2-1) / (1-0) = (2/1) = 1(MPL) X 150 = 150
MC= ((1-0) X 150) / 1-0 = 150 / 1 = 150
한계비용(150원) = 한계수입(150원)
즉, 기업의 최적고용단위는 4단위이다.
※ MC = MR 최적고용단위 –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
※ 노동의한계생산물(MPL)=
MPL = MPL X P =MR
MR = VMPL = MPL X P = MC = W
※노동의 한계비용은 노동 1단위당 임금이고 혼동의 한계수입생산은 한계수입 X 한계생산량이다.
※ 완전노동시장에서는 한계수입은 제품 1단위당 가격과 값 임으로 노동의 한계수입생산은 제화가격 X 한계생산량
08. K제과점 근로자 수와 하루 케이크 생산량은 다음과 같다. 아래의 물음에 답하시오.(종업원 일당은 80,000원 케이크 한 개 가격은 10,000원)[16-1,16-2]
근로자수 |
0 |
1명 |
2명 |
3명 |
4명 |
케이크생산량 |
0 |
10개 |
18개 |
23개 |
27개 |
1. 근로자 수가 2명일 때 노동의 한계생산은? (계산식과 답 기재할 것)
노동의한계생산물(MPL) =
• 노동의 한계 생산(MPL)=(18-10)/(2-1) =8개
2. 근로자 수가 3명일 때 노동의 한계수입생산은? (계산식과 답 모두 기재할 것)
• 노동의한계수입생산(MRPL)=노동의 한계생산성(MPL) X 한계수입(MR)
• 노동의한계생산물가치(VMPL)=노동의 한계생산성(MPL)X생산물가격(P)
즉, 안전경쟁시장의 경우 P=MR이므로 VMPL = MRPL(노동의 한계수입생산물)
• 노동의 한계생산(MPL =
= (23-18)/(3-2)
= 5개
• 생산물의 가격(P) = 10,000원
• 노동의 한계수입생산물 (MRPL = VMPL) = 5개X10,000원
= 50,000원
※ 독과점이 아니므로 (MRPL = VMPL) ................ 완전경쟁시장
MPL X MR = MPL X P (MR=P)
3) 근로자 1인당 임금이 하루 80,000원 일 때 기업의 이윤극대화 시점의 K 제과점의 근로자수와 케이크 생산량은(계산식과 답 모두 기재할 것)
※ 기업의 이윤 극대화 조건
1. 한계비용(MC) = 한계수입(MR)
즉, 임금(W) = 노동의 한계생산물(MPL) X 생산물가격(P)
= 노동의 한계생산물가치(VMPL)
2. 한계비용(80,000원) = 한계수입(80,000원)
즉,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은 근로자수가 2명이고 케이크 생산량이 18개 일 때이다
09. 다음 휴대용 의자를 생산하는 K사의 생산표이다.(여기서 노동이 유일한 생산요소라고 가정한다.) 이 회사가 생산하는 휴대용 의자의 개당 가격이 2,000원이고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이 10,000원 일대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근로자수(명) |
0 |
1 |
2 |
3 |
4 |
5 |
시간당휴대용의자총생산량 |
0 |
10 |
18 |
23 |
27 |
30 |
1. 근로자 수가 5명일 때 노동의 평균생산량을 구하시오.(계산식과 답 모두 기재할 것)
노동의 평균생산량 = ( 총생산량 / 노동투입량)
= 30개 / 5명
= 6개
2. K사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고용해야 할 근로자 수와 노동의 한계생산량을 구하시오. (계산식과 답 모두 기재)
※ 기업의 이윤 극대화 조건
한계비용(MC) = 한계수입(MR)
노동의
한계생산량 =
즉, 임금(W) = 노동의 한계생산물(MPL) X 생산물가격(P)
= 노동의 한계생산물가치(VMPL)
① 노동의 한계생산량(MPL) =
노동단위 3일 때
한계비용=(3-2) X 10,000
한계수입= (23-18_/(3-2) X 2,000
한계비용(10,000원) = 한계수입(10,000원)
즉,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은 근로자수가 3명이다.
한계비용 = 노동한계비용 X 임금
한계수입 = 한계생산량 X 생산단가
② 노동의 한계생산량(MPL) = (23-18/(3-2)
= 5개
10. 노동한계비용과 이윤 극대화가 이루어 질 때 노동공급과 임금을 구하시오.
노동공급 |
5 |
6 |
7 |
8 |
9 |
10 |
임금 |
6 |
8 |
10 |
12 |
14 |
16 |
한계수입생산 |
62 |
50 |
38 |
26 |
14 |
2 |
1) 노동 7단위 일 때 노동한계비용?
노동한계비용 = 총비용증가분/노동투임증가분
= (10-8)/(7-6)
= 2
2) 이윤극대화가 이루어지는 노동공급과 임금을 구하시오.
이윤극대화는 한계비용(MC)=한계수입(MR) 조건일 때이다.
즉, 임금(W) = 노동의 한계생산물(MPL) X 생산물가격(P)
= 노동의 한계생산물가치(VMPL)
노동 10단위의 한계비용 = (16-14)/(10-9)
= 2
한계수입= 2
로 한계비용(2)=한계수입(2)로 10단위일 때 이윤극대화가 이루어진다.
∴ 노동공급이 10, 임금이 16일 때 이윤극대화가 이루어진다.
11. 아래 표를 보고 노동의 한계
생산성 체감법칙의 개념과 원인을 쓰시오. 노동1단위는 150원 생산품 1개 100원이다. [02-1]
노동 |
1단위 |
2단위 |
3단위 |
4단위 |
5단위 |
생산성 |
2 |
4 |
7 |
8.5 |
9 |
한계수입(MR) 2 3 1.5 0.5
1. 개념 : 기업이 다른 생산 요소는 고정시키고 노동을 주기적으로 고용하여 생산을 하게 되면 총생산량은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고용량을 1단위 증가시킬 때 한계생산량은 처음에는 증가하다가 차츰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노동의 한계생산성체감의 법칙이라고한다.
2. 원인 : 노동의 한계생산성이 체감하는 원인은 노동과 자본(다른 생산요소)이라는 두 생산요소 중 자본(다른 생산요소)은 고정시킨 채 노동의 투입만 증가시키면 제한된 자본(다른 생산요소)과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생산성이 점차 감소하게 된다.
12. 노동력 수요에서 산업의 단기 노동수요가 외부조건의 변동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을 설명하시오.
1. 임금이 하락하면, 개별 기업의 노동수요는 증가한다.
2. 개별 기업의 노동 수요가 증가하면 생산량이 증가한다.
3. 생산량이 증가하면, 산업 전체적으로 생산물의 공급이 증가하여 상품 가격이 하락한다.
4. 상품 가격이 하락하면 노동의 한계생산물가치도 하락한다.
5. 노동의 한계생산물가치가 하락하면 개별 기업의 노동수요가 감소한다.
6. 개별 기업의 노동수요가 감소한다는 것은 결국, 임금이 하락하더라도 노동수요는 덜 증가한다.
VMPL ↓=MPL X P↓
※ 산업의 단기 노동수요가 외부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
1. 기업의 노동수요의 합이 산업전체의 노동수요하고 생각할 수 있으나 산업의 노동수요는 산업전체의 생산량에 영향을 받게 되므로 생산을 시장가격에 영향을 받는다. 생산물의 가격변화를 고려한 노동수요 변화는
임금률 하락 → 산업의 고용량증가 → 전체 산출량 증가 → 생산물 가격하락 →노동의 합계 생산물가치 하락 →VMPL곡선의 하방이동 →산업의 노동수요는 고용의 증가폭이 기업의 노동수요를 수평으로
합계한 것 보다 적게 된다.
즉, 산업의 노동 수요는 개별 기업의 노동수요곡선보다 비탄력적으로 된다.
※ 한계비용과 한계수입
1. 기업의 이윤 = 총수입 – 총비용
2. 이윤극대화
1단위를 추가하여 더 생산되는 비용 = 그로 인해 얻어지는 수입
이 같게 되는 수준까지 상품을 생산하는 것이다.
한계수입(MR) = 한계비용(MC)
3. 한계생산물가치(VMP L : Value of marginal product)와 임금이 같은 경우 기업이윤극대화. 고용 최적점이다.
VMP L = P x MP L
노동 1단위 투입할 때 얻는 생산물의 양 (MP L), 상품의 가격(P)
※ 총수입(TR) = Q(생산량:판매량) x P(가격)
평균수입(AR) = TR / Q
총비용(TC: TOTAL COST)
평균비용(AC) = TC / Q
※ 한계수입(MR) : 생산물 한 단위 추가 판매에 얻어진 총수입의 증가분
한계비용(MC) : 생산물 한 단위 추가 생산 발생되는 총비용의 증가분
L = 노동력 / K = 자본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