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II.직업심리학-반두라(Bandura) 사회인지적 진로발달이론, Healy(헬리)의 자기 인지
8. 반두라(Bandura) 사회인지적 진로발달이론
Healy(헬리)의 자기 인지
01. 반두라(Bandura)가 제시한 사회인지적 진로발달이론의 개인적 결정요인 3가지를 쓰고 설명하시오.
1. 자기효능감 : 목표한 과업을 완성시키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계획하고 주어진 특정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다.
복잡하고 어려운 과제를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으로 펼쳐 낼 수 있는 자신감도 필요하다. 자기효능감이 장애에 맞설 때 얼마나 노력하고 믿고, 나가고, 생각하고 느끼는지를 결장하고 개인이 어떤 활동과 환경을 선택할 것인가를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 자기존중감 : 자기가치에 대한 평가
2. 결과기대(성과기대) : 특정한 과업을 수행했을 때 자신과 주변에 일어날 일에 대한 평가이다. 행동의 결과로 얻게 될 것에 대한 기대를 의미한다.
3. 개인적 목표 : 단순히 환경이나 경험에 대한 반응자로서의 개인에서 벗어나 자신의 행동을 주체적으로 이끄는 인지적 주체로서 특정한 목표를 통해서 행동을 실행하고 성취를 추구한다. – 특정 결과를 성취하기 위한 개인의 의도를 의미한다.
※ 어떤 특정한 활동에 열중하거나 어떤 미래의 결과를 이루겠다는 것에 대한 결심을 의미한다.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을 조직하고 이끌어가고 외적인 강화가 없는 상황에서도 그 행동을 지속하며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여간다.
4. 진로장벽 : 진로를 선택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진로목표 실현을 방해하거나 가로막는 내적•외적 요인들을 말한다.
※ 반두라. 진로에 관련된 자신에 대한 평가와 믿음 강조
3축 호혜성 : 개인, 환경 행동의 상호작용. 개인은 역동적 주체이다.
02. 사회인지이론(SCCT)의 3가지 영역 모델을 쓰고 설명하시오.[13-2]
1. 흥미모형 : 자기 효능감과 결과 기대가 함께 흥미를 예언, 흥미는 목표를 예언하고, 목표는 활동의 선택 및 실행을 가져오고 나아가 수행 결과로 이어진다.자기 효능감과 결과 기대는 개인의 흥미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피아노를 잘 친다는 자기효능감에 기초하여 피아노에 대한 흥미가 발달된다.
사람들은 자신이 성공적으로 이룰 수 있다고 느끼는 것에 지속적인 흥미를 느낀다.
2. 선택모형 : 개인차(성별, 인종 장애, 성격 등)와 그를 둘러 싼 주변 환경은 학습경험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경험은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특정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3. 수행모형 : 개인이 목표를 추구함에 있어 어느 정도 지속할 것인지, 어느 정도 수행해 낼것인지 예측하는데 있다. 과거 수행이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수행 목표에 영향을 미친다.
※ 사회인지적 진로이론,SCCT(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 인지적 정보처리 과정 5단계(CASVE :진로정보처리 과정)
1. 의사소통(Communication) : 질문들을 받아들여 부호화하여 송축한다.
2. 분석(Analysis) : 개념적 틀 안에서 문제를 찾아 분류한다.
3. 통합(Synthesis) : 일련의 행위를 형성시킨다.
4. 가치부여(Valuing) : 성광과 실패의 확률에 관해 각각의 행위를 판단하고 다른 사람에게 미쳐 파급효과를 판단한다.
5. 집행(Execution) : 책략을 세워 계획을 실행시킨다.
03. Healy(헬리)의 긍정적 자기를 인지하고, 자신감을 높이기 위한 8가지 원칙을 쓰시오.[14-1, 04-3]
1. 다양한 범위의 행위를 경험하고 그 것을 숙고할 때 자기인식 능력이 증가한다.
2. 노력의 결과를 긍정적으로 강화하고 성공하는 방법을 배울 때 자기 인식이 증가한다.
3. 그들의 역량이 있다고 기대되는 것을 개발하고 독려할 때 자기인식과 자신감이 증가한다.
4. 다른 사람을 가르치기 위해서 정보를 얻고 조직화하도록 안내 받을 때 자기인식과 자신감이 증가한다.
5. 관찰한 피드백을 얻고 통합할 때 자기인식과 자신감이 증가한다.
6. 그들의 삶이 의미 있게 관찰되고 숙고될 때 자기인식이 증가한다.
7. 보조적인 수단이 줄어들고, 기록과 성취가 검토될 때 자신감이 증가한다.
8. 상담자가 체계적으로 목표와 목적을 갖고 적당한 모델링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자기 인식과 자신감이 증가한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