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II.직업심리학- 고트프레드슨(Gottfredson)의 직업포부 발달이론
6. 고트프레드슨의 직업포부 발달이론(제한-타협이론)
• 자기심상에 맞는 직업을 원하기 때문에 자아개념은 직업선택에서 중요한 요인
• 자아개념, 직업선택 중요요인(자아개념 : 외모, 능력, 성격, 성별, 가치 등) 포함.
• 청소년기까지 언급
• 어릴 때부터 성별, 인종별 사회계층 별로 차이가 나는 이유 설명키 위해 개발.
01. 고트프레드슨(Gottfredson)의 직업포부 발달이론에서 제시된 제한과 절충의 의미를 쓰시오.[14-3]
1. 제한(한계): 자기 개념과 일치하지 않는 직업들을 배제하는 과정으로 자기개념의 발달단계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다.
2. 절충(타협) : 제한을 통해 선택된 선호하는 직업대안 중 자신이 극복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진 직업을 어쩔 수 없이 포기하는 것이다.
02. Gottfredson이 제시한 직업포부 4단계를 연령별로 설명하시오.[11-2, 11-2, 16-3, 15-3]
1. 힘과 크기 지향성(3-5세) : 사고과정이 구체화되며 어른이 된다는 것의 의미를 알게 된다. 주로 어른들의 역할을 흉내 내고 직관적인 사고과정을 보이며 직업을 갖는 것을 성인의 역할로 인식한다.-서열획득 단계
2. 성 역할 지향성(6-8세) : 자아 개념이 성의 발달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자신의 성과 일치하는 직업들을 선호하여 자신과 동일한 성별의 사람들이 많이 수행하고 있는 직업들에 대해 선호를 보인다.
3. 사회적 가치 지향성(9-13세) : 사회 계층에 대한 개념이 생기면서 자아를 인식하게 되고 자신이 추구하는 사회적 지위와 일치하는 직업들을 선호한다. - 사회적 가치 인지하는 단계
4. 내적 고유한 자아지향성(14세 이후) : 생각이 점차 성숙해지면서 내적 사고를 통하여 자아인식이 발달되고 타인에 대한 개념이 생겨나며 자아성찰과 사회계층의 맥락에서 직업적 포부가 더욱 발달한다. 자신의 가치관, 흥미, 성격 등과 일치하는 직업들을 선호한다.
• 새로운경험을 쌓을수록 직업정체감 발달
• 직업정체감 형성해가는 과정
• 시간적 단계구조로 개념화(시간 틀 내에서 개념화
1. 예상기(Anticipation Period)
① 탐색기 : 자신의 진로 목표를 설정하고 대안을 탐색한다.
② 구체화기 : 자신의 진로방향을 구체화한다.
③ 선택기 : 구체적으로 의사결정에 임하게 된다.
④ 명료화기 : 이미 내린 의사결정을 신중히 분석•검토하고 결정을 내린다.
2. 실천기(Implementation Period)
① 순응기 : 새로운 상황에 들어가서 인정을 받고 싶어한다.
② 개혁기 : 자신의 의지를 조직 내에 펼쳐 보고 싶어한다.
③ 통합기 : 개인이 조직의 욕구와 자신의 욕구를 균형 있게 조절하여 타협과 통합을 이루게 된다.
[직업심리학] 8. 반두라(Bandura) 사회인지적 진로발달이론, Healy(헬리)의 자기 인지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1) | 2019.07.06 |
---|---|
[직업심리학] 7. 크룸볼츠(Krumbolz)의 사회학습이론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0) | 2019.07.03 |
[직업심리학] 5. 수퍼(Super) 진로발달이론, Hall의 경력발달 단계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0) | 2019.07.03 |
[직업심리학] 4. 긴즈버그(Ginzberg)의 진로발달이론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0) | 2019.07.03 |
[직업심리학] 3. Roe 욕구이론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0) | 2019.07.0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