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직업심리학] 6. 고트프레드슨(Gottfredson)의 직업포부 발달이론,제한-타협이론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직업상담사2차 기출/직업심리학

by 스톤Passion 2019. 7. 3. 16:24

본문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II.직업심리- 고트프레드슨(Gottfredson)의 직업포부 발달이론







6. 고트프레드슨의 직업포부 발달이론(제한-타협이론)










• 자기심상에 맞는 직업을 원하기 때문에 자아개념은 직업선택에서 중요한 요인

• 자아개념, 직업선택 중요요인(자아개념 : 외모, 능력, 성격, 성별, 가치 등) 포함.

• 청소년기까지 언급

• 어릴 때부터 성별, 인종별 사회계층 별로 차이가 나는 이유 설명키 위해 개발.


 

01. 고트프레드슨(Gottfredson)의 직업포부 발달이론에서 제시된 제한과 절충의 의미를 쓰시오.[14-3]

1. 제한(한계): 자기 개념과 일치하지 않는 직업들을 배제하는 과정으로 자기개념의 발달단계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다.

2. 절충(타협) : 제한을 통해 선택된 선호하는 직업대안 중 자신이 극복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진 직업을 어쩔 수 없이 포기하는 것이다.

 

02. Gottfredson이 제시한 직업포부 4단계를 연령별로 설명하시오.[11-2, 11-2, 16-3, 15-3]

1. 힘과 크기 지향성(3-5) : 사고과정이 구체화되며 어른이 된다는 것의 의미를 알게 된다. 주로 어른들의 역할을 흉내 내고 직관적인 사고과정을 보이며 직업을 갖는 것을 성인의 역할로 인식한다.-서열획득 단계

2. 성 역할 지향성(6-8) : 자아 개념이 성의 발달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자신의 성과 일치하는 직업들을 선호하여 자신과 동일한 성별의 사람들이 많이 수행하고 있는 직업들에 대해 선호를 보인다.

3. 사회적 가치 지향성(9-13) : 사회 계층에 대한 개념이 생기면서 자아를 인식하게 되고 자신이 추구하는 사회적 지위와 일치하는 직업들을 선호한다.  - 사회적 가치 인지하는 단계

4. 내적 고유한 자아지향성(14세 이후) : 생각이 점차 성숙해지면서 내적 사고를 통하여 자아인식이 발달되고 타인에 대한 개념이 생겨나며 자아성찰과 사회계층의 맥락에서 직업적 포부가 더욱 발달한다. 자신의 가치관, 흥미, 성격 등과 일치하는 직업들을 선호한다.

 


타이드만(Tiedeman)과 오하라(O’Hara)의 진로발달이론 직업 정체감 형성과정(의사결정과정)


새로운경험을 쌓을수록 직업정체감 발달

직업정체감 형성해가는 과정

• 시간적 단계구조로 개념화(시간 틀 내에서 개념화

 

1. 예상기(Anticipation Period)

탐색기 : 자신의 진로 목표를 설정하고 대안을 탐색한다.

구체화기 : 자신의 진로방향을 구체화한다.

선택기 : 구체적으로 의사결정에 임하게 된다.

명료화기 : 이미 내린 의사결정을 신중히 분석검토하고 결정을 내린다.

2. 실천기(Implementation Period)

순응기 : 새로운 상황에 들어가서 인정을 받고 싶어한다.

개혁기 : 자신의 의지를 조직 내에 펼쳐 보고 싶어한다.

통합기 : 개인이 조직의 욕구와 자신의 욕구를 균형 있게 조절하여 타협과 통합을 이루게 된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