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II.직업심리학-크룸볼츠(Krumbolz)의 사회학습이론
• 사회학습이론에 기초한 행동주의 방법을 통해 진로선택을 조력.
• 진로의사결정에 대한 학습이론 : 교육적, 직업적 선호 및 기술이 어떻게 획득하며 교육프로그램, 직업, 현장의 일들이 어떻게 선택되는지 설명.
• 강화이론, 고전적행동주의 인지적정보처리이론에 기원. (스키너, 파블로, 반도라)
01. 크룸볼츠(Krumbolz)의 사회학습이론에서 제시한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진로결정요인)을 3가지만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18-2, 14-1, 12-3, 10-3]
진로선택이론 중 사회학습이론에서 크룸볼츠(Krumboltz)가 제시한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3가지 쓰시오.[10-2]
1. 유전적 요인과 특별한 능력 : 개인의 진로기회를 제한하는 타고난 특질을 말한다. 즉, 교육적, 직업적인 선호나 기술을 획득하기 위한 능력에 영향을 준다. 인종∙성별∙신체적인 모습(유전적 요인)과 특징, 지능, 예술적 재능 및 운동능력 등이 포함된다.
2. 환경적 조건과 사건 : 환경에서의 특정한 사건이 기술개발, 활동, 진로 선호, 진로 결정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사회, 문화, 경제적, 정치적 요인들을 말한다.
여기에는 취업 가능한 직종의 내용(고용기회), 교육훈련이 가능한 분야(직업훈련의 기회), 사회정책, 노동법, 천재지변, 천연자원의 공급 및 이용 가능 정도, 기술의 발달, 사회조직의 변화, 가정의 영향, 교육제도 및 이웃과 지역사회의 영향 등이 포함된다.
※ 개인 환경에서의 사회정책은 고용기회의 확장, 감소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고 또한 경제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재해는 개인의 통제를 넘어서는 예시이다.
3. 학습 경험
① 도구적 학습경험 : 과거의 학습경험이 교육적, 직업적 행동에 대한 도구로 작용한다. 행동의 직접적이고 관찰 가능한 결과를 통해 학습하는 것이다. 긍정적인 강화를 받으면 행동은 더 일어나고 이러한 행동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관련된 기술을 잘 숙지하고 그 자체에 내적인 흥미를 갖게 된다. 부정적인 강화 즉 벌을 받은 행동은 점점 감소한다. 선행사건 –행동 – 결과 의 순서에 의해서 학습된다.
EX) 잘해서 의사가 됐다.
② 연상적 학습경험 :개인이 경험한 어떤 사건이 진로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간접적이거나 대리학습 경험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전에 경험한 감정적 중립적 사건이나 자극을 정서적으로 비중립 사건이나 자극과 연결하며 발생한다.
병원에 입원한 경험이 있는 아이는 의사라는 모델을 통해 관찰학습을 하게 되고, 의사가
되고 싶어한다.
EX) 할머니 병을 낫게 하기 위해 의사가 됐다.
4. 과제접근기술 : 개인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이에 대처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이나 경향으로 학습경험, 유전적 요인과 특별한 능력, 환경적 조건이나 사건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난다.
과제 접근기술은 직업습관, 감성적 반응 등과 같이 개인이 발달해 온 기술 집합니다. 개인이 어떤 문제(과제)에 부딪혔을 때 그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에 의해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EX) 고3학생이 수업노트로 내인을 올렸지만 대학교에서는 같은 방법으로 성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고등학교 때의 학습방법을 수정하는 것이 좋다.
※ 진로결정요인 : 상호작용, 자기관찰 일반화와 세계관 일반화 형성
※ 환경요인 (1번과 2번 ) : 개인통제 영역 밖에 있고 상담을 통해 변화 불가능
심리적 요인(3번과 4번 ) : 개인의 생각, 감정과 행동을 결정. 이러한 요인들의 영향을 이해하고 변화시키도록 도와주어야 함.
[직업심리학] 9. 속도검사와 역량검사 / 규준참조검사와 준거참조검사 / 극대수행검사와 습관적 수행검사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0) | 2019.07.06 |
---|---|
[직업심리학] 8. 반두라(Bandura) 사회인지적 진로발달이론, Healy(헬리)의 자기 인지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1) | 2019.07.06 |
[직업심리학] 6. 고트프레드슨(Gottfredson)의 직업포부 발달이론,제한-타협이론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0) | 2019.07.03 |
[직업심리학] 5. 수퍼(Super) 진로발달이론, Hall의 경력발달 단계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0) | 2019.07.03 |
[직업심리학] 4. 긴즈버그(Ginzberg)의 진로발달이론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0) | 2019.07.0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