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직업심리학] 2. Dawis와 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직업상담사2차 기출/직업심리학

by 스톤Passion 2019. 6. 29. 16:24

본문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II.직업심리- Dawis 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









2. Dawis 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








01. 직업 적응 이론으로서 개인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4가지 성격유형 요소들 3가지만 제시하고 설명하시오.[19-1, 16-2, 15-2, 10-3]

1. 민첩성 : 과제를 얼마나 빨리 완성하느냐. , 개인의 반응속도를 의미하고 정확성보다는 속도를 중시한다.

2. 역량 : 개인의 평균 활동 수준을 말하고, 개인의 에너지 소비량을 의미한다.

3. 리듬 : 활동에 대한 다양성을 의미한다. 개인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속도의 패턴이다. 일을 함에 있어 다양한 활동을 하는 사람을 리듬감 있다고 한다. 리듬감 있는 직업으로는 연예인, 모험가, 보험영업사원

4. 지구력 : 개인이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다양한 활동 수준의 기간을 의미한다.


직업적응방식적 측면

1. 융통성 : 개인이 작업환경과 개인적 환경 간의 부조화를 참아 내는 정도를 의미한다. = 유연성

2. 끈기 : 개인이 얼마나 오랫동안 견뎌낼 수 있느냐 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 인내

3. 적극성 : 개인이 좀 더 조화롭게 만들어 가리고 노력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4. 반응성 : 개인이 작업환경에 반응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02. Dawis 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TWA)에 기초하여 개발한 직업적응과 관련된 검사도구 3가지를 쓰시오.[10-3]

1. 미네소타 중요성 질문지(MIQ, Minnesota Importance Questionnaire)

개인이 일의 환경에 대해 지니는 20가지 욕구와 6가지 가치 측정하는 도구. 190개 문항

2. 미네소타 직무기술 질문지 (MJDQ or JDQ , Minnesota Job Description Questionnaire)

직무 만족의 원인이 되는 일의 강화요인을 측정하는 도구로 능력의 사용, 성취, 인간자원의 관리체계 등의 척도로 구성. MIQ 20개 욕구 측정도구

3. 미네소타 만족도 질문지(MSQ,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일의 환경이 MIQ에서 정의한 20개 욕구를 만족시켜 주는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 하위척도는 MIQ와 동일. 

직무만족의 원인이 되는 일의 강화요인 측정. 능력, 성취, 승진 등

4. 미네소타 만족성 척도 또는 미네소타 충족 질문지(MSS, Minnesota Satisfactoriness Scales)환경의 충족 정도. 직장이 수퍼바이저가 개인의 충족정도를 평가하는 형식

5. 미네소타 직업분류체계 III:심리학적 직업분류체계

 

03. 직업적응이론(TWA)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6가지 직업가치를 쓰시오.[13-1]

1. 성취(Achievement)               

2. 편안함 또는 평안감(Comfort)

3. 지위(Status)                       

4. 이타심 또는 이타주의(Altruism)

5. 안정성 또는 안전성(Safety)     

6. 자율성 또는 자발성(Autonomy)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