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III.직업정보-고용정보(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 실업률, 입직률)
6. 고용정보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 실업률, 입직률)
01. 경기활동참가율, 고용률, 실업률 계산하시오. (계산과정, 소수둘째자리반올림) [15-1, 17-2]
( 단위: 천명)
• 전체 인구 : 500 • 만15세 이상 인구 : 400 • 취업자 : 200 • 실업자 : 20 |
• 정규직 직업을 구하려고 하는 단기근로자 : 10 |
※ 경제 활동 참가율(%) =(경제활동인구) ÷ 15세 이상 인구 x 100
• 경제 활동 인구 = 취업자 + 실업자 = 200+20 = 220명
• 경제활동참가율(%) = x 100 = 55%
• 고용률(%) = (취업자 ÷만15세이상인구 x 100
= x 100 = 50%
• 실업률 (% ) = (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 x 100
=(20/(200+20)) x100 = 9.0909 ≒ 9.1 %
※ 단기근로자 10천명은 취업자에 포함되어 있다. 조사대상 주간 중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는 취업자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02. A국의 만 15세 이상 인구(생산 가능인구)가 100만명이고 경제 활동 참가율이 70%, 실업률이 10% 라고 할 때 A국의 실업자 수를 계산하시오.[19-1, 11-2]
• 실업률(%) =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x 100
• 경제활동 참가율(%) = (경제활동인구 ÷ 만 15세 이상인구) x 100
70% = (X / 100만명) x 100
∴ 경제활동인구 = 70만명
• 실업률 (%)= x 100
∴ 10% = x 100
답은 실업자 = 7만명
03. 주어진 표를 보고 계산하시오(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17-1]
단위 : 천명
구분 | 15~19세 | 20~24 | 25~29 | 30~50 |
생산가능인구 | 3,284 | 2,650 | 3,846 | 22,982 |
경제활동인구 | 203 | 1,305 | 2,797 | 17356 |
취업자 | 178 | 1,181 | 2,598 | 16,859 |
실업자 | 25 | 124 | 199 | 497 |
경제활동가능인구 | 3,082 | 1,346 | 1,049 | 5,627 |
1. 30~50세 고용률?
• 30~50세 고용률 = x 100
= 73.3574 ≒ 73.4%
2. 30~50세 고용률을 29세 이하의 고용률과 비교하여 분석
• 29세 이하의 고용률 = X 100
= X 100 =
40.46 ≒ 40.5%
30~50세 고용률이 29세 이하의 고용률보다 32.9%(73.4-40.5) 높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30~50세가 29세 이하 보다 활발한 경제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04. 실업률(%) 구하시오. (계산 과정과 답 제시. 소수 둘째자리에서 반올림)
• 만 15세 이상 인구 ( 35,986천명 ) • 비경제활동인구 ( 14,716천명 ) • 취업자수 ( 20,149천명 ) |
• 실업률 = X 100
• 경제활동인구 = 만 15세 이상인구 – 비경제활동인구
= 35,986천명 – 14,716천명
= 21,270천명
•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 취업자
= 21,270천명 – 20,149천명 = 1,121천명
• 실업률 = (1121 ÷ 21,270) X 100 = 5.2703
≒ 5.3%
06. 예시를 보고 다음을 계산 [18-1, 17-3]
(단위 : 천명)
• 만 15세 이상 인구 : 35,986
• 비경제활동인구 : 14,716
• 취업자수 : 20,149 (자영업 5646, 무급가족종사자 1684, 상용 6113, 임시 4481 일용 2225) |
• 실업률를 구하시오
경제활동인구 = 35,986 – 14,716
= 21,270
실업자 = 21,270 – 20,149
= 1,121
실업률 = (1121 ÷ 21,270) X 100
= 5.2703
≒ 5.3 %
• 임금근로자 수를 구하시오
임금근로자 = 일용근로자 + 임시근로자 + 상용근로자
= 2,225 + 4,481 + 6,113
= 12,819 천명
• 경제활동참가율을 구하시오
• 경제활동참가율 = X 100
경제활동인구 = 35,986 – 14,716
= 21,270천명
경제활동참가율 = (21,270 ÷ 35,986) X 100
= 59.1063
≒ 59.1 %
08. 가상적인 국가의 고용동향 (2005년 3월)이 다음과 같을 때 질문에 답하시오. (소수 둘째 자리 반올림)
(단위 : 천명)
경제활동인구 | 비경제활동인구 | 임금근로자 | 비임금근로자 |
350 | 150 | 190 | 140 |
• 실업률을 구하시오.
실업률 = (실업자 ÷경제활동인구) X 100
취업자 = 190+140
= 330천명
실업자 = 350-330
= 20천명
실업률 = (20÷350) X 100
= 5.7142
≒ 5.7 %
• 경제활동참가율을 구하시오
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인구 ÷ 만15세 이상 인구) X 100
만 15세이상 인구 = 350+150
= 500천명
경제활동참가율 = (350÷500)X100
= 70%
• 자영업자 : 90천명일 때 무급가족종사자는 최소한 얼마인가?
무급가족종사자 = 비임금근로자 – 자영업자
= 140천명 - 90천명
= 50천명
• 경제활동가능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고용률 = (취업자 ÷ 생산가능인구:만 15세이상 인구) X 100
고용률 = (330 ÷ 500) X 100
= 66 %
09. 어떤 국가의 고용률이 50%이고 실업률이 10%(실업자 수 : 50만명)일 때 경제활동인구수와 비경제활동인구수를 구하시오.
• 실업률 = (실업자/경제활동인구) * 100
10%(실업률) = (50만명 / 경제활동인구) * 100
경제활동인구 = 500만명
• 고용률 =(취업자 / 만15세이상 인구) * 100
취업자 = 경제활동인구 – 실업자
= 500만명 – 50만명
= 450만명
고용률(50%) = (450만명 / 만 15세이상인구 ) * 100
∴ 만 15세이상인구 = 900만명
• 비경제활동인구 = 만15세이사인구-경제활동인구
= 900만명 – 500만명
= 400만명
∴ 경제활동인구 : 500만명, 비경제활동인구 : 400만명
10. 고용률이 50%, 비경제활동인구가 400만명, 실업자수는 50명 일 때 실업률을 구하시오.
• 고용률 = ( 취업자 / 15세이상인구 ) * 100
• 취업자수를 X 라고 한다면, 경제활동인구는 X + 50, 만 15세이상 인구는 X + 450 이다.
50% = ( X / (X + 45 0) ) * 100
= 450 명
• 실업률 = ( 취업자 / 경제활동인구) * 100
= ( 50명 / 500명 ) *100
= 10%
11. 예시를 보고 다음을 계산하시오
구분 |
신규구인 |
신규구직 |
알선건수 |
취업건수 |
A |
103,062 |
426,748 |
513,973 |
36,710 |
B |
299,990 |
938,855 |
1,148,534 |
119,020 |
1. ‘A’의 구인배율
구인비율 = 신규구인인원 ÷ 신규구직자 수
= 103,062 ÷ 426,478
= 0.2415
≒ 0.24
2. ‘B’의 구인배율
구인비율 = 299,990 ÷ 938,855
= 0.3198
≒ 0.32
3. ‘A’의 취업률은?
취업률 = (취업건수 ÷ 신규구직자 수) X 100
= (36,710 ÷ 426,748) X 100
= 8.6023
≒ 8.6 %
4. ‘B’의 취업률은?
취업률 = (119,020 ÷ 938,855) X 100
= 12.6771
≒ 12.68 %
5. A기간과 B기간의 경제활동은?
A와 B를 비교해 보면 A보다 B가 구인배율은 0.08(B-A: 0.32-0.24), 취업률은 4.1%정도 높다. 즉 실업률은 떨어지고 취업률은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 B가 일자리 창출과 신규 노동자의 수요를 불러 일으켰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A보다 B가 경기가 더 좋다고 할 수 있다. )
12. A회사의 8월 말 기준근로자수가 1000명이고 9월 신규채용 인원 20명 전입인원 80명일 때 9월 입직률을 구하고 입직률의 정의를 쓰시오.[15-1]
1. 입직률 = (당월 증가 노동자수 ÷ 전월말 노동자 수)X 100
= (( 20+80 ) ÷ 1000) X 100
= 10%
2. 입직률의 정의
① 조사기간 중 본 사업체에 전입이나 신규채용으로 입직한 사람의 비율을 의미한다.
② 전 월말 노동자 수에 대한 당월증가 노동자(입직자 수)의 비율을 말한다.
※ 8월 1000명 →9월 100명(신규: 20명, 전입: 80명)
<고용 통계 용어> • 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인구 ÷ 만15세 이상인구) X 100 • 고용률(%) – (취업자 ÷ 만15세 이상인구) X 100 • 취업률(%) = (취업자 ÷ 경제활동 인구X 100 • 실업률(%) =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X 100 <구인•구직 용어> • 충족률(%) = (취업건수 ÷ 신규구인인원) X 100 • 구인배율 = 신규구인인원 ÷ 신규구직자수 • 구직배율 = 신규구직자수 ÷ 신규구인인원 • 알선률(%) = (알선건수 ÷ 신규구직자수) X 100 • 취업률(%) = (취업건수 ÷ 신규구직자수) X 100 • 의중 임금 충족률(%) = (제시임금 ÷ 의중임금) X100 • 희망 임금 충족률(%) = (제시임금 ÷ 희망임금) X100 • 유효 구인인원 수 = 모집인원 수 – 채용인원 수 • 유효 구직자 수 = (해당 월말)등록 마감된 구직자 수 – 취업된 구직자수 |
[직업정보] 5. 직업정보의 기능 및 직업관련 정보[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0) | 2019.07.19 |
---|---|
[직업정보] 4. 한국표준산업분류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0) | 2019.07.19 |
[직업정보] 3. 한국표준직업분류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0) | 2019.07.19 |
[직업정보] 2.한국직업사전의 구성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0) | 2019.07.16 |
[직업정보] 1. 직업 정보(공공직업 정보와 민간직업 정보, 직업정보의 효용)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0) | 2019.07.1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