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직업심리학] 13.지능검사와 적성검사, 심리 검사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직업상담사2차 기출/직업심리학

by 스톤Passion 2019. 7. 11. 17:22

본문



[직업상담사 2차 기출문제]

II.직업심리-지능검사와 적성검사,  심리 검사




13. 지능검사와 적성검사,  심리 검사










01. 지능검사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3가지 이상을 서술하고 지능검사와 적성검사의 차이를 대략적으로 설명하시오.[05-1, 00-1]

1. 지능검사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개인의 일반적인 지적 능력을 평가하여 학업이나 직업적 성취를 예측 할 수 있다.

개인의 인지적 기능의 특성을 파악하여 환경에 대한 적응 여부를 예측 할 수 있다.

기질적 뇌 손상 유무를 파악 할 수 있다.

2. 지능검사와 적성검사의 차이

① 지능검사 : 일반적인 지적 능력을 상대적인 기준으로 평가한다.

㉠ 수리적 관계, 상징적 관계, 언어적 능력, 추상적 관계를 다루는 능력 측정한다.

㉡ 개인이 또래집단에 비해 어느 정도의 일반적인 지능을 가지고 있는지 상대적인 기준으로 지적 능력을 측정한다. (연령에 따른 지적 능력을 측정한다.)

② 적성검사 : 특정분야에 필요한 잠재적인 지적 능력을 절대적인 기준으로 평가한다. 제한된 시간에 문제를 얼마나 잘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는지 절대적 기준으로 평가한다.

㉠ 특수한 능력(적성) 측정하여 특수 직종에 맞는 사람을 선발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 특수능력과 잠재력을 발견하고 개발하여 학업이나 진로 결정하는데 정보 제공한다.

㉢ 미래의 학업과 직업에 있어서 성공 가능성을 예측한다.

㉣ 해당영역의 문제를 얼마나 잘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절대적 기준으로 평가한다.

 

02. 스피어만(Spearman) 2요인을 설명하시오.[16-3]

※ 지능의 2요인설

1. 일반요인(genaral factor, G요인)

여러 가지 과제들을 수행하는데 공통적으로 필요한 일반적인 능력으로, 이해력, 서로 다른 요인 간 관계를 주출하는 것, 경험의 인지 등이 있다.

웨슬러의 지능검사, 이검사의 전체IQ 11개 하위검사는 특수요인.

2. 특수요인( specific factor, S요인)

특정 분야의 과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특수한 능력으로. 언어능력, 수리능력, 공간능력, 기계적 능력, 수개념, 수학적 추리, 단어지식, 언어추리, 기억등의 특수능력을 나타낸다.

  

1. 지능검사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기질적 뇌 손상 유무를 알 수 있다.

개인의 인지적-지적 기능의 특성 파악이 가능하다.

개인의 지적 능력 수준을 평가한다.

임상적 진단을 명료하게 해준다.

합리적 치료 목표설정을 가능케 해준다.

 

03. A씨의 지능검사 실시결과와 전체 지능점수는 102, 언어성과 동작성 기능은 각각 88점과 121이었다. A씨의 구체적인 검사 지능검사가 다음과 같을 때 A씨의 지능검사 결과에 대해 해석하시오.[09-1]


기본

지식

숫자

외우기

어휘

상수

이해

공동성

빠진곳

찾기

차례

맞추기

토막

짜기

모양

맞추기

바꿔

쓰기

9

7

7

10

8

9

10

11

16

16

8

언어성 50

동작성 61


1. 전체 지능지수는 102로 보통 수준이다.

2. 언어성 검사(기본지식, 숫자외우기, 어휘, 산수, 이행, 공동성)의 합은 50이고, 동작성 검사(빠진 곳 찾기, 차례 맞추기, 토막짜기, 모양 맞추기, 바꿔쓰기)의 합은 61이다. 이를 IQ산출표로 환산하면 언어성 지능은 88로 조금 낮은 편이고, 동작성 지능은 121로 조금 높은 편이다.

3. 이 결과로 볼 때 교육수준은 낮지만 일상 생활에서의 대처 능력은 높다고 볼 수 있다.

한국판웩슬러 성인지능검사이다. 반응양식, 검사행동양식

⊙ 개인의 독특한 심리특성도 파악

⊙ 신뢰도,타당도 높다

IQ평균 : 100 /    표준편차 : 15

⊙ 언어성IQ, 동작성 IQ,전체IQ

⊙ 소검사의 표준화 점수 제시 :평균 10, 표준편차 3이다.

 

04. 지능검사에서 동작성 검사 장점 3가지를 쓰시오[18-1]

선천적 문제해결 능력을 알아볼 수 있다.

후천적 교육이나 경험에 의해 생기는 지능의 편향성을 균형 잡아 측정할 수 있다

동작을 수행함으로 인해 관찰되는 여러 행동을 알아 볼 수 있다.


한국판 웩슬러(Wechsler)

언어성소검사:기본지식/숫자외우기/어휘/ 산수/ 이해 / 공동성

동작성소검사:빠진곳찾기/차례맞추기 /토막짜기 /모양맞추기/ 바꿔쓰기

 

05. GATB(일반 적성 검사: General Aptitude Test Battery)검사 시 측정되는 적성에 대해 설명하시오.[02-3, 01-3, 15-1]

05-1. GATB 심리검사 도구의 적성항목 3가지를 쓰시오.

1. 지능 (G : General Intelligence) : 일반적인 학습능력, 설명이나 지도 내용과 원리를 이해하는 능력, 추리 판단하는 능력, 새로운 환경에 빨리 순응하는 능력. – 하위 (입체공간, 어휘, 산수추리 검사)

2. 언어 능력(V: Verbal Aptitude) : 언어의 뜻과 그에 관련된 개념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 언어 상호간의 관계와 문자의 뜻을 이해하는 능력, 보고 들은 것이나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는 능력. – 하위 ( 어휘검사 )

3. 수리능력 (N: Numerical Aptitude) :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하는 능력하위 (계수, 산수추리 검사)

4. 사무 지각(Q: Clerical Perception) : 문자나 인쇄물, 전표 등의 세부를 식별하는 능력, 잘못된 문자나 숫자를 찾아 교정하고 대조하는 능력. 직관적인 인지능력의 정확도나 비교판별하는 능력하위 (명칭비교검사)

5. 공간 적성(S: Spatial Aptitude) : 공간상의 형태를 이해하고 평면과 물체의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 기하학적 문제해결 능력, 2차원이나 3차원의 형체를 시각적으로 이해하는 능력. – 하위 ( 평면도판단검사)

6. 형태지각(P: Form Perception) : 실물이나 도해 또는 표에 나타나는 것을 세부까지 바르게 지각하는 능력, 시각으로 비교 판별하는 능력, 도형의 형태나 음영, 근소한 선의 길이나 넓이 차이를 지각하는 능력, 시각의 예민도 등하위(기구대조, 형태대조 검사)

7. 운동반응(K: Motor Coordination) : 눈과 손 또는 눈과 손가락을 함께 사용하여 바르고 정확하게 운동할 수 있는 능력, 눈으로 겨누면서 정확하게 손이나 손가락의 운동을 조절하는 능력하위 (타점속도, 표식, 종선기입검사)

8. 손가락 재치(F: Finger Dexterity) : 손가락을 정교하고 신속하게 움직이는 능력, 작은 물건을 정확 또는 신속하게 다루는 능력하위 ( 조립, 분해검사)

9. 손의 재치(M: Manual Dexterity) : 손을 마음대로 정교하게 조절하는 능력. 물건을 집거나 뒤집을 때 손과 손목을 정교하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능력. – 하위 ( 환치, 회전 검사)

15개의 하위검사 통해 9개분야 적성 측정

11개 지필, 4개 수행(손가락 재치,손의 재치)

 

04. 현재 사용할 수 있는 흥미검사의 종류 5가지만 쓰시오.[12-2]

1. 스트롱(Strong) 방식

스트롱 직업흥미검사(SVIB), 스트롱-켐벨 흥미검사(SCII)

2. 쿠더(Kuder) 방식 : 쿠더 직업흥미검사(KOIS)

3. 홀랜드(Halland) 방식

직업 선호도 검사(VPI), 직업 탐색 검사(VEIK), 자기 방향 탐색(SDS), 자기직업상황(MVS), 경력의사결정검사(CDM), 진로사정검사(CAI)


※ 5개 골라서 답안 작성

직업 탐색 검사(VEIK) :  스트레스 받는 내담자 위해 개발

자기 방향 탐색(SDS) : 자기탐색검사, 자기흥미탐색검사라고도 한다.

경력의사결정검사(CDM) : 원점수가 가장 높은 2~3개 흥미 척도 탐색 대상이 된다.

진로사정검사(CAI) : 진로정체성 검사


05. 고용 노동부 성격검사는 성격의 5요인 모델에 근거하고 있다. 5요인을 열거하고 각 요인을 간단히 설명하시오.[19-1, 06-1, 01-3]

1. 외향성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원하고 타인의 관심을 끌고자 하는 정도를 말한다.(하위검사 : 온정성, 사교성, 리더십, 적극성, 긍정성)

2. 호감성 :타인과 편안하고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는 정도를 말한다.(하위검사 : 타인에 대한 믿음, 도덕성, 타인에 대한 배려 수용성, 겸손, 유머니즘)

3. 성실성 :사회적 규칙, 규범, 원칙들을 기꺼이 지키려는 정도를 말한다.(하위검사 : 유능성, 조직화 능력, 책임감, 목표지향성, 자기통제력, 완벽성)

4. 정서적 안정성(정서적 불안정성) :정서적으로 얼마나 안정되어 있고 자신이 세상을 얼마나 통제할 수 있으며 세상을 위협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지의 정도를 말한다.(하위검사 : 불안, 분노, 우울, 자의식, 충동성, 스트레스 취약성)

5. 경험에 대한 개방성 :자기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관한 관심, 호기심, 다양한 경험에 대한 추구 및 포용력 정도를 말한다.(하위검사 : 상상력, 문화, 정서, 경험추구, 지적 호기심)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